부자되는 정보들

실업급여 모의계산 – 2025년 기준

범블비999 2025. 5. 16. 13:30

실업급여 모의계산 – 2025년 기준 예상 수급액과 지급 기간, 계산 방법 총정리

실직 후 당장의 생계 걱정이 앞설 때,
정부에서 지원하는 실업급여(구직급여)는 중요한 사회안전망이 됩니다.
하지만 “나는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해
명확한 계산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죠.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의 지급 조건, 금액 계산법, 지급 기간,
그리고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실업급여 모의계산 공식
2025년 최신 기준에 맞춰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직장인, 계약직, 프리랜서(특고)까지 적용 가능하도록 폭넓게 다뤘습니다.


1. 실업급여란?

항목 내용

정식 명칭 구직급여 (고용보험법상 실업급여의 일종)
지급 목적 비자발적으로 퇴직한 근로자가 구직 활동을 하는 동안 생계 지원
지급 주체 고용노동부 + 근로복지공단 (고용보험 재원)
지급 요건  
  • 고용보험 가입 이력
  • 이직 사유가 비자발적 (권고사직, 계약 만료 등)
  • 이직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 구직활동을 성실히 수행

2. 실업급여 금액 계산 공식 (2025년 기준)

▶ 1일 실업급여 = 이직 전 평균임금 × 60%

구분 최소~최대 지급액

1일 지급액 하한 71,296원 (2025년 최저임금 기준 80%)
1일 지급액 상한 77,000원

✅ 평균임금이란?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급여 ÷ 총 일수


3. 실업급여 지급 기간 (소정급여일수)

연령 고용보험 가입기간 지급일수

50세 미만 180일 이상~3년 미만 120일
  3년~5년 미만 150일
  5년~10년 미만 180일
  10년 이상 210일
50세 이상 or 장애인 최대 270일까지 확대 가능  

✅ 지급일수는 나이 + 고용보험 가입기간을 기준으로 달라집니다.
→ 장기근속자일수록, 고령자일수록 더 길게 지급받습니다.


4. 실업급여 모의계산 예시

✔️ 예시 조건

  • 30세, 퇴직 전 3개월 총 급여: 630만 원
  • 근속기간: 4년 2개월
  • 고용보험 가입기간: 4년 2개월

① 평균임금 계산

  • 630만 원 ÷ 90일 = 70,000원

② 1일 실업급여액

  • 70,000원 × 60% = 42,000원
    하한액 71,296원보다 낮으므로,
    실제 지급액은 71,296원

③ 총 지급일수

  • 연령 50세 미만 + 3년 이상 5년 미만 → 150일

👉 최종 지급액

71,296원 × 150일 = 10,694,400원 (약 1,070만 원)


5. 고용노동부 공식 모의계산기 사용 방법

  1. 고용노동부 워크넷 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2. “실업급여 모의계산” 메뉴 선택
    • 퇴직 전 3개월 급여 입력
    • 근속기간 입력
    • 나이 입력
  3. 자동으로 지급액/기간 산출

✅ 단, 정확한 결과는 관할 고용센터 상담 후 확정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Q&A

Q. 급여를 높게 받았는데 왜 상한선이 있나요?
A. 실업급여는 생계지원 성격이므로, 1일 최대 77,000원으로 제한됩니다.

Q. 퇴직 후 바로 신청 가능한가요?
A. 이직일 다음 날부터 12개월 이내 신청 가능,
→ 보통 퇴사 다음 주에 고용센터 방문 + 교육 수강 필요

Q. 재직 중 실업급여 모의계산 해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 향후 이직 계획이나 퇴직 협의 시 기준이 되는 데이터로 유용합니다.